| 카테고리 | ||||
| 금융 | 부동산 | 기술 | 에너지 | 제조업 |
| 소비재 | 헬스케어 | 통신 | 농업 | 관광 및 서비스업 |
| 헤드라인 |
| [단독] SK '알짜 반도체사업', 에코플랜트에 붙인다 |
| 본문내용 수치화 / 인사이트 |
윤곽 드러나는 SK 사업재편
SK㈜의 에센코어 자회사 편입
SK테스와 영업망 공유 시너지

SK에코플랜트는 18일 이사회를 열고 SK㈜의 자회사인 반도체 가공업체 에센코어와 합병하는 방안을 의결할 예정이다. SK그룹 직원들이 16일 서울 수송동 SK에코플랜트 본사 앞을 지나고 있다. /임대철 기자
SK에코플랜트(옛 SK건설)가 SK㈜ 산하 반도체 가공·유통회사인 에센코어를 자회사로 편입한다. SK머티리얼즈가 거느린 산업용 가스회사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도 한식구로 맞는다. 각각 600억~1000억원 안팎의 영업이익을 내는 ‘알짜’ 회사를 산하에 두면 SK에코플랜트의 재무구조가 대폭 개선되는 만큼 2026년 상장 계획에 탄력이 붙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6일 산업계에 따르면 SK에코플랜트는 18일 이사회를 열고 에센코어와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 인수 방안을 의결한다. SK㈜가 지분 100%를 보유한 싱가포르 특수목적법인 S.E.Asia Pte가 거느린 에센코어를 SK에코플랜트에 현물출자 방식으로 넘기고, SK㈜에 같은 금액만큼의 SK에코플랜트 지분을 건네는 방식이다. SK머티리얼즈의 자회사인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도 같은 방식으로 산하에 편입한다.
홍콩에 본사를 둔 에센코어는 SK하이닉스로부터 D램과 낸드플래시 반도체를 공급받아 SD카드, USB 등으로 가공·유통하는 회사다. 안정적인 공급처와 탄탄한 영업망 덕분에 지난해 반도체 업황 부진에도 590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반도체 경기가 좋았던 2021년에는 1120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지난해 매출은 8210억원이다.
SK는 이번 사업 재편으로 SK에코플랜트 자회사인 SK테스와의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다. 중고 정보기술(IT) 기기와 데이터센터 서버 등을 정비한 뒤 판매하는 SK테스와 고객이 겹치는 만큼 영업망과 물류망을 공유할 수 있어서다. SK에코플랜트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등 각종 빌딩과 공장을 지을 때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가 가스관 설계 및 시공을 맡는 식의 협업이 가능할 것으로 SK는 기대하고 있다.
캐시카우 2곳을 에코플랜트에…SK사업재편 '마지막 퍼즐' 완성
에코플랜트, IPO 탄력…1년 내 갚을 차입금만 1.7兆
“SK그룹 사업재편의 마지막 퍼즐이 완성됐다.”
산업계 고위 관계자는 SK에코플랜트(옛 SK건설)가 반도체 가공·유통업체 에센코어와 산업용 가스회사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를 품기로 한 결정에 대해 이같이 평가했다. SK그룹의 대대적 사업재편을 부른 양대 축인 SK온과 SK에코플랜트의 재무구조 개선 방안이 사실상 확정됐기 때문이다.
핵심은 SK에코플랜트가 계획대로 2026년까지 기업공개(IPO)를 할 수 있도록 그룹의 알짜 회사들을 붙여주는 것이다. 돈 되는 사업을 떼어주는 SK㈜도 손해보는 장사는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다. SK에코플랜트 지분 42.9%를 보유한 대주주인 만큼 자회사를 탄탄하게 만들어주는 게 장기적으로 도움이 된다는 이유에서다.
“계열사 간 시너지 날 것”

16일 재계에 따르면 SK㈜는 자회사인 에센코어를 SK에코플랜트 자회사로 넘기는 방안을 18일 이사회에서 의결한다. 에센코어는 SK그룹이 2013년 인수한 반도체 가공·유통 회사다. SK하이닉스에서 반도체를 공급받아 SD카드, USB 등으로 가공한 뒤 세계 시장에 유통하는 회사다. SK하이닉스의 D램과 낸드플래시 제품을 소매시장에서 판매하기도 한다. 업계 관계자는 “에센코어 제품은 소비자들 사이에서 ‘하이닉스 램’으로 불리고 있다”며 “SK하이닉스의 판매가 늘어날수록 수익성이 좋아지는 구조”라고 말했다.
SK그룹은 SK에코플랜트 자회사인 SK테스와의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다. SK테스는 데이터센터 서버와 정보기술(IT) 기기 재활용 업체다. 미국, 유럽 등 21개국에서 46개 재활용 시설을 운영하는 등 탄탄한 영업망이 강점이다. 에센코어와 SK테스는 고객군이 거의 비슷하다. 에센코어가 판매한 D램 등의 활용 가치가 낮아지면 SK테스가 제품을 수거해 재활용하는 식이다.
SK에코플랜트는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 인수를 계기로 설계·조달·시공(EPC) 포트폴리오 확대에 나선다. SK에코플랜트는 수요가 늘어나는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EPC 사업을 미래 먹거리로 삼고 있다. SK에코플랜트가 짓는 공장에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의 산업용 가스 시스템을 넣고, SK하이닉스 반도체가 들어간 서버를 설치하는 그림을 그린다는 얘기다.
2026년 IPO에 청신호
이번 합병으로 SK에코플랜트의 2026년 IPO 계획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SK에코플랜트는 지난해 1745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지만 336억원 순손실을 냈다. 1년 안에 갚아야 하는 단기차입금만 1조6744억원(1분기 말 기준)에 달한다. 친환경 사업에 뛰어들면서 폐기물 업체를 여럿 인수했는데, 기대만큼 실적이 올라오지 않은 탓이다.
업계에선 기업가치가 각각 1조원에 이를 것으로 평가받는 에센코어와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가 붙으면 SK에코플랜트의 수익성이 크게 좋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에센코어는 지난해 영업이익이 590억원으로 떨어졌지만, 2021년 1120억원, 2020년 1040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올 들어 SK하이닉스의 실적이 크게 좋아진 만큼 에센코어의 영업이익도 2021년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업계는 전망하고 있다.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도 비슷하다. SK하이닉스 등 안정적인 그룹 물량이 있는 데다 장기계약도 많아 상당 기간 꾸준한 수익을 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48% 증가한 2576억원, 영업이익은 27% 늘어난 653억원을 기록했다.
SK에코플랜트 IPO 계획의 불확실성이 확 떨어졌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상장을 위해선 올해와 내년에 흑자를 내야 하는데, 큰 변수가 없는 한 흑자 전환은 어렵지 않을 것으로 업계는 예상하고 있다. SK에코플랜트는 2022년 1조원 규모의 프리IPO(상장 전 지분투자)를 유치하면서 투자자들에게 2026년 7월까지 상장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때까지 상장하지 못하면 연 5~8% 수익을 보장해주기로 했다.
[단독] SK '알짜 반도체사업', 에코플랜트에 붙인다
SK에코플랜트(옛 SK건설)가 SK㈜ 산하 반도체 가공·유통회사인 에센코어를 자회사로 편입한다. SK머티리얼즈가 거느린 산업용 가스회사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도 한식구로 맞는다. 각각 600억~100
n.news.naver.com
| 요약 |
SK에코플랜트는 반도체 가공업체 에센코어와 산업용 가스회사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를 자회사로 편입하기로 결정했다. 이를 통해 SK에코플랜트는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2026년 기업공개(IPO)를 목표로 한 계획에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에센코어는 안정적인 영업이익을 올리고 있으며,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는 지속적인 수익원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합병은 SK그룹의 대대적 사업재편의 일환으로, 각 계열사 간 시너지를 극대화하여 SK에코플랜트의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 추가조사내용 |
- 합병에 따른 시너지 효과
- SK에코플랜트와 에센코어의 시너지: SK에코플랜트가 에센코어를 자회사로 편입함으로써 반도체 가공 및 유통 분야에서 영업망과 물류망을 공유할 수 있어 비용 절감과 효율성 증대가 예상됩니다.
-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와의 협업: SK에코플랜트가 건설하는 AI 데이터센터와 공장에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의 가스 시스템을 통합하여, EPC(설계, 조달, 시공)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경쟁사들의 유사한 합병 사례
- 삼성물산과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물산이 삼성바이오로직스를 자회사로 편입하여 바이오 사업에서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고, 재무구조를 개선한 사례가 있습니다.
- LG화학과 LG에너지솔루션: LG화학이 배터리 사업을 LG에너지솔루션으로 분사한 후, 지속적인 투자와 협력을 통해 배터리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한 사례입니다.
- 합병에 따른 비용과 ROI (투자 대비 수익률):
- 합병 비용: 에센코어와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의 편입에 따른 초기 비용이 발생하지만,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원을 확보하여 재무구조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 ROI: 에센코어는 2021년에 112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고,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는 지난해 매출 2576억원, 영업이익 653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들의 안정적인 수익성을 통해 SK에코플랜트의 ROI는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 적용할점 (지원동기/현직자에게 할 질문) |
- 에센코어와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의 편입으로 예상되는 구체적인 시너지 효과는 무엇인가요?
- SK에코플랜트의 2026년 IPO 계획에 대한 자세한 전략은 무엇인가요?
- 합병 후 SK에코플랜트의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추가적으로 고려하고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요?
연관기사 링크:

'경제적자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윤 정부의 연구개발(R&D) 예산 구조조정 (2) | 2024.07.19 |
|---|---|
| 반도체 대형주들이 급락, 소비재 주식들은 경기방어주 역할 (0) | 2024.07.18 |
| SK이노베이션 자회사 3곳의 합병 추진 (0) | 2024.07.16 |
| 롯데 'AI전환' 가속 (0) | 2024.07.14 |
| 두산그룹의 로봇 사업 강화, 두산밥캣 자회사로 편입 (0) | 2024.07.12 |
댓글